안녕하세요? VIEW에서 지난 해에 개설했던 “기독교역사 기초과정”에 이어 올해 “인문학 심화” 과정을 개설하게 되었습니다. 올해는 고전철학과 역사학을 전공한 인문학자들과 함께 3학기 과정을 진행하고자 합니다.
시기별로 고대, 중세, 근대 시대에서 한 가지 주제를 정하여 다룹니다. 지난 해 기초 과정에서 다룬 내용 중에 몇 주제를 선정하여, 해당 분야의 전문 학자들이 심화 내용을 강의합니다.
이 강의는 ZOOM을 통해 온라인 실시간 강의 및 질의응답으로 진행되며, 시간이 여의치 않은 분들은 녹화본을 시청하시는 방식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. 대중 강연을 통해 만나기 쉽지 않은 분들입니다. 기꺼이 시간을 내어 주신 두 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.
이 강좌를 통해 시대를 읽어가는 통찰을 통한 인문학의 향연을 풍성하게 누릴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.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기대합니다.
등록 안내
- 수강료: 20만원 (C$200)
- 현재 VIEW 정기후원자는 5만원 (C$ 50)
- 과정을 수료하신 분들에게는 VIEW 수료증을 드립니다.
- 문의: 최종원 교수님 (tel_ +1-(778)-953-4329. email_ cjw232@gmail.com)
강의 일정
일시 | 기간 | 주제 | 강사 | 비고 | |
---|---|---|---|---|---|
1학기 | 5월26일 ~ 7월14일 |
90분, 6주 (강의 및 질의응답) |
고대 철학의 향연 | 구교선 (중앙대) |
A반 매주 목요일 저녁 7시~8시30분 B반 (한국시간) |
2학기 | 8월4일 ~ 9월8일 |
위클리프와 그의 시대 | 최종원 (VIEW) |
||
3학기 | 10월6일 ~ 11월10일 |
루터와 종교개혁 | 박흥식 (서울대) |
강사 소개
박흥식 교수님 (서울대 서양사학과)
학력
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, 독일 University of Göttingen 박사
주요 저서 및 논문
- 『미완의 개혁가, 마르틴 루터』 (서울: 21세기북스, 2017).
- 『서양사강좌』, 박윤덕 외 공저 (파주: 아카넷 2016).
- 「루터의 95개조 논제는 게시되었는가?」, 『서양사연구』, 56 (2017)
- 「흑사병은 도시 피렌체를 어떻게 바꾸었는가?」, 『서양사론』, 130 (2016)
- 「중세 도시는 상인길드의 볼모였는가? 괴팅엔의 사례」,『서양중세사연구』, 33 (2014)
- 「주검은 왜 춤추게 되었을까? 죽음의 무도의 기원을 찾아서」, 『중세의 죽음』 (서울: 산처럼, 2015)
- 「서양 장기에 비친 중세사회」, 『서양사연구』, 47 (2012)
- 「헨리 8세의 개혁과 수도원 해산」, 『역사학보』, 213 (2012)
- 「중세 말기 유럽의 성직자와 교회에 미친 흑사병의 영향」, 『서양사연구』, 44 (2011) 등 다수.
구교선 교수님, 중앙대학교 RCCZ 접경인문학 연구단
학력
서울대학교 미학과, 영국 King’s College London 철학 박사
주요 논문
- 「소크라테스가 고르기아스를 만났을 때 – 플라톤 『고르기아스』 448e-461b에 대한 한 가지 해석-」, 『서양고전학연구』 60(2), 2021.
- 「플라톤 『국가』편의 드라마적 도입부에 대한 한 가지 해석: 당대 민주정의 모순에 대한 처방전을 얻기 위한 예비적 고찰」, 『서양고전학연구』 60(1), 2021.
- 「플라톤 『파이돈』 편과 철학을 하는 즐거움의 순수함」, 『감성연구』 (21), 2020.
- 「플라톤 『파이돈』의 교환 논변과 육체적 즐거움」, 『열린정신 인문학연구』 21(1), 2020.
- 「철학자는 왜 배움과 관련된 즐거움에 대해 열성적이어야 하는가? -플라톤 『파이돈』의 경우」, 『철학연구』 (61), 2020.
- 「상기를 통해 획득되는 앎의 정체는 무엇인가?: 플라톤 『파이돈』의 경우」, 『서양고전학연구』 59(1), 2020 등 다수.
최종원 교수님,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
학력
경희대학교 회계학과, 영국 Birmingham University 박사